살다 보면 다양한 이유로 수술을 할 수 있겠지만 특히 복부를 수술해야 하는 맹장 수술을 받게 되면 의사나 간호사가 환자에게 방귀를 뀌었는지 계속해서 물어봅니다. 의사나 간호사가 계속해서 방귀를 뀌었는지 확인하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마취로 인한 장마비
맹장 수술과 같이 복부를 수술할 때는 환자에게 전신 마취를 하며, 이때 근육 이완제도 같이 투여합니다. 이는 수술 진행 중 환자의 고통을 경감하고 후유증, 부작용, 출혈량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그런데 전신 마취를 하면 의식과 감각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내장 기관의 활동도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장의 연동 운동이 거의 멈춘 일명 ‘장마비‘ 상태가 됩니다. 장마비 상태는 환자가 의식을 차린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10~30% 정도의 환자에게서 발생된다고 합니다.
장마비 자가 진단
- 메스꺼움을 느끼거나 토를 함
- 음식 섭취가 불가능함
- 수술 후 24시간 동안 방귀를 안 뀜
- 복부팽만
- 방사선 사진상 장마비 소견
장마비가 발생하는 이유
맹장 수술 후 장마비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교감신경의 자극
첫 번째 이유는 맹장 수술로 인한 교감신경의 자극 때문입니다. 교감신경은 부교감신경과 함께 자율신경을 구성하는데, 대뇌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인지하지 않아도 몸속 장기들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한쪽이 촉진하면 다른 쪽은 억제해 그 효과를 상쇄하는 길항작용의 관계에 있습니다.
구분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
심장박동 | 촉진 | 억제 |
혈관 | 수축 | 확장 |
혈압 | 상승 | 하강 |
소화관 운동 | 억제 | 촉진 |
소화액 분기 | 억제 | 촉진 |
침 분비 | 억제 | 촉진 |
동공 | 확대 | 축소 |
교감신경은 주로 긴장, 흥분, 놀람 등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때 작용하는데, 이 상태에서 평상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부교감신경이 신체를 이완시키고 몸이 안정감 있도록 조절해 주는 식입니다.
즉, 맹장 수술은 맹장을 직접 접촉해야 하므로 교감신경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이것이 장마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 금식
세 번째 이유는 수술 전 금식 때문입니다. 맹장 수술 전에는 금식을 해야 하는데, 장내의 음식물이 없으므로 장운동이 저하되어 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맹장 수술 전 금식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위장 내 음식물이 남아 있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되어 기관 내 삽관을 하면 음식물이 역류해 기관지나 폐로 넘어가 흡인성 폐렴에 걸릴 수 있으니 금식 지시사항을 잘 따라야 합니다.
충수 절제
네 번째 이유는 충수 절제 때문입니다. 맹장 수술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생겨 제거하는 수술로 충수염이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맹장의 일부인 충수를 절제함에 따라 장의 운동이 적어지게 되고, 이 때문에 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원인
이 외에도 장마비는 염증으로 인하여 장 신경과 장 근육 사이의 협응을 방해해 장운동을 저하되거나 수술 마취제에 의한 부작용, 호르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수액 치료로 인한 장부종 등 다양한 원인이 장마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맹장 수술 후 방귀를 확인하는 이유
맹장 수술 후 방귀를 뀌었는지 확인하는 이유는 바로 장마비 상태에서 회복되었는지 확인하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장마비 상태에서는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가 안되기 때문에 꼭 장운동이 다시 회복된 후에 섭취해야 합니다. 간혹 일부 환자들은 음식을 먹고 싶어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매우 위험한 행동이므로 절대 하면 안 됩니다.
장운동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방귀로 확인하는 방법이 다소 민망한 환자를 위해 다른 방법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바로 장운동을 평가할 때 쓰이는 기준인 장음을 청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맹장 수술 후 장운동의 회복이 소장과 위장, 대장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청진 시 운동을 확인한다고 해도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장운동 회복을 가장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은 대변을 보는 것이나 맹장 수술 전후로 금식을 하기 때문에 대변을 보는 것이 어려움이 있어 합리적인 방안으로 방귀를 기준으로 삼은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맹장 수술 후 방귀가 계속 나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보통 일반적인 성인이라면 사흘 이내로 방귀가 나오는데, 계속해서 방귀가 나오지 않으면 장이 엉겨 붙었거나 복강 내 고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일 수 있어 추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마치며
맹장 수술의 원인인 충수염은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합니다. 다만 충수염이 발생했을 때 지체 없이 수술을 하는 것이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개복 수술보다 흉터가 적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른 복강경 수술이 진행된다고 하니 충수염 증상이 느껴지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